분류 전체보기 124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등재 2013년영문명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늦가을에 기온이 내려가면 많은 한국인들은 김장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 김장은 한국인들이 춥고 긴 겨울을 나기 위해 김치를 대량으로 담그는 것을 말한다. 김치는 한국 고유의 향신료와 해산물로 맛을 내고 발효시킨 한국적인 방식의 채소 보존 식품을 말하며,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760년 이전에도 한국인의 식단에 김치가 있었다고 한다. 김치는 계층과 지역의 차이를 넘어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밥과 김치는 가장 소박한 밥상이지만, 가장 호화로운 연회에서도 김치는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다.김장은 한국인의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를 통합한 식문화로 지역 생..

유네스코 2023.07.26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등재 2007년영문명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총면적 18,846㏊ 규모의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은 천장과 바닥이 다양한 색상의 탄산염 동굴 생성물로 구성되어 어두운 용암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굴계로 꼽히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바다 바다에서 솟아올라 극적인 장관을 연출하는 요새 형태의 성산일출봉 응회암(tuff cone), 그리고 폭포와 다양한 형태의 암석, 물이 고인 분화구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한라산 등 3개 구역으로 구성돼 있다. 뛰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이 유산은 지질학적 특성과 발전 과정 등 지구의 역사를 잘 보여주..

유네스코 2023.07.2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제주 해녀 문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제주 해녀 문화등재 2016년영문명 Culture of Jeju Haenyeo(Women Divers) 제주도 여성 공동체에는 최고령이 80대에 이르는 여성들이 생계를 위해 산소마스크도 쓰지 않고 수심 10m까지 잠수해 전복, 성게 등 조개류를 채취하는 해녀(海女)들이 있다. 바다와 해산물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제주 해녀들은 한 번 잠수할 때마다 1분씩 숨을 멈추고 하루에 최대 7시간, 연간 90일 정도 채취를 한다. 해녀들은 물속에서 다시 수면 위로 떠 오를 때 특유의 휘파람 소리를 낸다. 해녀들은 각자의 물질 능력에 따라 하군, 중군, 상군 세 집단으로 나뉘는데, 상군 해녀가 나머지 해녀들을 지도한다. 잠수하기 전 제주 해녀들은 무당을 불러 바다의 여신인 용왕 할머니에게 풍어와 ..

유네스코 2023.07.19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새마을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새마을운동 기록물등재 2013년영문명 Archives of Saemaul Undong(New Community Movement)새마을운동1970년부터 1979년까지 한국에서 전개된 새마을운동 관련 기록물이다. 이 기록물은 대통령 연설문, 정부 문서, 마을 단위 기록물, 편지, 새마을운동 교재, 관련 사진, 영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마을운동'은 말 그대로 'New Community Movement' 또는 'New Village Movement'를 뜻한다. 한국은 일제의 식민 지배와 6.25 전쟁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룩한 세계 유일의 나라이다. 이 점에서 한국은 많은 개발도상국들에 교훈적인 국가 모델로 알려져 있다. 새마을운동은 한국이 걸어온 이 놀라운 여정..

유네스코 2023.07.16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한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한산성등재 2014년영문명 Namhansanseong 서울에서 남동쪽으로 25km 떨어진 산지에 축조된 남한산성은 조선시대(1392~1910년)에 유사시를 대비하고 임시 수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건설된 산성이다. 남한산성의 초기 유적은 7세기의 것도 있지만, 이후 여러 차례 축성되었고, 특히 17세기 초 중국 만주족이 건설한 청나라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차례 개축되었다. 남한산성은 승려들이 동원되어 성을 쌓았고, 그들이 산성을 지켰다. 남한산성은 중국과 일본에서 전래된 성제의 영향과 서양의 화기 도입으로 변화된 축성 기술의 양상을 반영하면서 당시 방어적 군사 공학 개념의 총체를 구현한 성곽이다. 오랫동안 지방의 도성이자 지금도 대대로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인 남한산성..

유네스코 202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