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기회와희망 2023. 8. 2. 21:40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등재 2017년

영문명 Archive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본문

한국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1907년부터 1910년까지 국민들이 국가의 빚을 갚기 위해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의 전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제국주의 열강은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 모든 대륙으로 식민지를 확장하면서 식민지 국가 대부분에 막대한 부채를 지우고 이를 이용해 권력을 강화해 왔다. 동북아시아의 소국인 한국도 마찬가지로 일본의 대외채무에 위협을 받고 있었다. 당시 한국인들은 이미 베트남, 인도, 폴란드, 이집트, 오키나와 등의 국가들도 외채로 나라를 잃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한국 국민들은 외채의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했다.

한국 국민의 약 25%가 자발적으로 이 운동에 참여했고, 남자는 술과 담배를 끊고, 여자는 반지와 비녀를 내고 끊고, 기생과 거지, 도적들까지 의연금을 냈다. 한국 국민들은 전국적인 기부 운동을 통해 국가의 대외채무를 갚고 국가적 책임을 다하고자 했다.

 

이 운동은 영국인 기자들에 의해 한국에서 발행된 영자신문을 통해 유럽과 미국에 알려졌고, 해외에서는 유학생과 이민자들에 의해 외국에서 발행된 신문을 통해 알려졌으며,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서 한국의 국채보상운동이 공론화되면서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외채로 고통받는 다른 피식민지 국가들에게 큰 자극을 주었다.

 

이후 중국(1909년), 마카오(1938년), 베트남(1945년) 등 제국주의 침략을 받은 다른 나라들도 한국과 비슷한 방식으로 국채보상운동을 조직했다. 그러나 한국의 국채보상운동은 후대의 운동에 비해 전 국민이 참여한 가장 빠르고 가장 긴 국민적 기부운동이었다는 점에서 기념비적이며, 당시 유일한 온전한 역사적 기록이라는 점에서 큰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그로부터 90년 후인 1997년 동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한국에서는 '금 모으기 운동'으로 불리는 2차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났다. 국가 부도 위기(채무불이행)에 직면한 한국 국민들은 국내에 보관 중이던 금반지를 기부하는 국민운동을 조직함으로써 국채보상운동을 재현한 것이다. 또한 한국의 금 모으기 운동은 태국, 몽골 등에도 파급되어 외환위기를 조기에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경제위기에 직면한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의 경제회복 모델로 주목받기도 했다.

 

외채 문제는 20세기 피식민지와 식민지 국가, 21세기 선진국과 저개발국 사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외채상환 문제는 외채를 포기할 것인가, 상환할 것인가의 대립적 현상이다. 전자가 '쥬빌리 운동'이라면 후자는 '국채보상 운동'이다. 이처럼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은 시민의 연대를 통해 채무자의 책임을 다함으로써 국난을 극복한다는 보편적인 인류의 정신이며, 현대에도 살아있는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국가의 위기에 자발적으로 대응하는 시민의 '책임'의 본질을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다. 또한 국채보상운동은 라틴아메리카, 동아시아, 유럽의 외환위기에서 볼 수 있듯이 세계 경제가 직면한 누적된 부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국민적 연대와 책임감에 기반한 경제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문서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종속시키기 위해 제공한 1300만 원의 차관을 갚는 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2월 서상돈, 김광제, 윤필오 등이 경북 대구시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일제 통감부에 의해 방해받았다. 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1907년 4월부터 12월까지였고, 가장 많은 자금이 모인 시기는 6월부터 8월까지였다. 그러나 1908년 일본의 탄압과 조직력 부족으로 운동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처음부터 운동을 적극적이고 꾸준히 추진한 중심은 양기탁과 베델(E.T.Bethell)을 중심으로 한 '대한매일신보'였다. 이처럼 이 운동은 사실상 국민주권 회복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었는데, 일제는 이를 온갖 수단으로 방해하고 탄압하려 했다.

 

1907년 이후 일제는 베델을 국외로 추방하는 공작을 전개했고, 1908년 5월에는 3주간의 금고와 벌금형을 선고했다. 같은 해 7월 일제 통감부는 "베델과 양기탁이 대한매일신보가 보관하고 있던 국채 보상금 3만원을 사용했다"며 양기탁을 구속했다. 이른바 일제는 '국채보상금 소비 사건'을 조작한 것이다.

 

배경

대한제국의 외교특권을 박탈한 일제는 반강제적으로 대한제국에 차관을 제공했지만, 대한제국은 차관을 갚지 못했다. 실제로 일제의 대한제국 차관은 일제의 조선 지배 강화를 위해 사용되었고, 1907년에는 1300만 원에 달했다. 그 일환으로 1905년에 일제 측 재정 고문이 대한제국에 파견되어 통화 재편성 사업이 진행되었고, 대한제국의 은행은 일제 은행에 종속되어 점차 대한제국 경제를 지배하게 되었다. 차관제도도 이런 의도로 시작되었고, 결국 1300만 원의 빚을 진 대한제국은 갚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것이 1907년경 경상북도 대구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으로 이어졌다.

국채보상운동의 역사

1907년 1월 29일 경상남도 대구의 애국지사들은 대구 광문사에서 임시회를 열어 대동광문회로 개칭하고 부의장 서상돈이 국채 보상 문제를 제안했다. 2월 초 김광제, 서상돈 등은 전 국민에게 국민 참여를 호소하는 각서를 써서 배포했고, 서울에서의 첫 보도는 2월 16일 자 제국신문에 실렸다. 1907년 2월 21일 대동광문회는 대구 북문 밖 북후정에서 '국채보상운동 대구 군민대회'를 개최하여 서상돈을 비롯한 수천 명의 유지, 신사, 시민이 참여하여 기부함으로써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었다.

 

국채 상환에 대한 국민들의 열의는 대단했는데, 남자들은 담배를 끊고 여자들은 비녀와 가락지를 냈다고 한다. 또한 일본에 체류 중이던 민원식 등도 기부했다. 또한 대구, 한성부, 진주, 평양에서 여성 국채보상운동 조직이 설립되었다. 이는 민중의 힘으로 국채를 갚으려는 전대미문의 경제 운동이었지만 상류층과 부유층의 참여가 없어 한계가 있었고, 일제가 친일 단체 일진회를 조종하고 지도자인 양기탁을 투옥하면서 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관련글 더보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새마을 운동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5.18 광주민주화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