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강강술래

기회와희망 2023. 8. 3. 14:58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강강술래

등재 2009년

영문명 Ganggangsullae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강강술래

요약

한국 남서부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는 '강강술래'는 풍년과 오곡백과를 기원하는 민속 의례로, 음력 8월 중순에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밝은 보름달이 뜨는 밤, 수십 명의 마을 처녀들이 모여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한 사람이 '강강술래'의 합창을 이끌고 다른 몇 명이 뒤에서 노래를 부른다. 춤은 밤새도록 계속되며, 중간중간 민속놀이가 펼쳐진다.

 

이 민속놀이의 특징은 강강술래 노래에 이어 기와밟기, 덕석몰이, 쥐잡기놀이, 청어 엮기 등 농촌과 어촌의 삶을 유쾌하게 묘사하는 것이다. 춤의 이름은 노래의 가락에서 유래했지만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다. 옛날 농촌의 젊은 여성들은 중추절을 제외하고는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밤에 외출할 수 없었는데, 이 춤은 그들이 해방감을 느끼고 잠시나마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오늘날 이 풍습은 주로 도시의 중년 여성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며,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어린이들이 부분적으로 연습하고 있다.

 

지금은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공연 예술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민속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강강술래는 농촌의 쌀농사 문화에서 비롯된 중요한 전통 풍습이다. 단순한 곡조와 동작으로 배우기 쉽고, 여성들이 이웃과 함께 춤을 추면서 협동, 평등, 우애를 도모했다.

지역 정보

강강술래는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널리 행해졌으나 점차 행해지는 지역이 줄어들어 현재는 전라남도 해남군과 진도군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다.

 

본문

한국과 동아시아에서는 수천 년 전부터 벼농사를 지으며 유럽의 밀 농사 문화와는 다른 쌀농사 문화가 형성되어 왔다. 쌀농사 문화는 한국인의 삶 곳곳에 스며들어 있으며, 강강술래는 그 문화에서 탄생한 세시풍속이다. 강강술래는 한국 연극 음악과 연극 무용의 기원을 알 수 있는 힌트를 준다. 강강술래는 한반도 서남부 해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졌던 것으로 원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내륙지역에서는 놋다리밟기와 월월이청청 같은 다른 노래와 함께 불렸다.

 

노래와 춤을 추는 동안 여성들은 손을 맞잡고 둥근 모양을 만든다. 다양한 놀이를 수반하는 이 노래의 이름은 '강강술래'라는 반복적인 합창에서 유래했지만,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다.

 

원래는 15세에서 20세 사이의 젊은 여성들, 때로는 갓 결혼한 젊은 여성들이 불렀다. 그러나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무렵에는 40~50대 중년 여성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창작 의욕이나 힘보다는 숙련된 기교로 알려지게 되었다.

강강술래는 전통적으로 설.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 중구절(重九節) 등 한국의 주요 명절에 행해졌는데, 그중에서도 추석이 가장 큰 행사였다. 그 결과 강강술래는 특히 추석을 전후로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 추석날 밤, 농촌의 젊은 여성 수십 명이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밝은 달빛 아래서 노래하고 춤을 춘다. 태양이 남성, 달이 여성을 상징하고 여성의 신체적 특징이 둥글게 표현되는 것처럼 강강술래는 고대의 미학을 반영하는 샤머니즘적 특질 속에 의태성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격렬한 춤사위로 인해 젊은 여성들만 연습했고, 가임기 여성의 특권이기도 했다.

 

강강술래는 한국 특유의 원시적인 예술이다. 노래의 가사는 보통 민중들이 쓰고, 노래를 주도하는 사람이 곡의 속도를 만든다. 함께 춤을 추는 사람들은 앞소리를 하는 사람의 뒤를 이어 가사를 부른다. 강강술래에는 민속신앙과 민속무용에 더해 민속음악이 도입되고, 한국 전통악기가 반주한다.

 

매우 흥겹고 역동적이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달이 뜨는 저녁부터 달이 질 때까지 춤을 추는 경우도 흔하다. 앞소리를 하는 사람의 속도에 따라 음악은 늦은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나뉜다. 춤추는 사람들의 움직임은 음악의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춤 사이사이에는 농촌과 어촌의 삶을 표현한 연극이 상연된다. 남생이놀이(한 사람이 원을 그리며 춤을 추고 다음 사람이 원을 그리며 앞사람을 흉내 내는 것), 고사리 따기, 청어 엮기, 기와 밟기, 덕석몰이, 쥐잡기놀이(꼬리 집어 올리기), 문지기 놀이, 가마등, 수건돌리기 등이 있다.

 

강강술래의 원형은 중국 고문헌에 따르면 약 2000년 전에 존재했던 마한의 농촌 풍습에 있다. 무형 문화유산이 이토록 오랫동안 전승되는 것은 인류 역사상 드문 일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는 것은 사회와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오래 지속되었다는 뜻이다.

 

전통적인 한국 사회는 남존여비 사상이 강해 젊은 여성이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밤에 외출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추석에는 강강술래를 통해 여성들은 달 밝은 밤에 자유롭게 노래하고 춤을 추며 오랫동안 쌓인 울분을 풀 수 있었다. 축제 기간 동안 여성들은 평소의 속박에서 벗어나 그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었던 것이다.

 

강강술래는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1592년 이순신 장군은 밤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여성들에게 강강술래를 시켰다고 한다. 멀리서 보면 흔들리는 그림자가 일본 왜군은 이순신 장군의 병력을 과대평가하게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아군의 승리로 이어졌다. 또한 가사를 자세히 들어보면 사회 비판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가사는 일본에 대한 한국 민중의 저항이 반영되어 있다.

 

현재는 젊은 여성들이 도시로 나가버린 탓에 지방에서 강강술래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지정과 국가의 문화. 교육 정책 덕분에 이 노래는 한반도 남서부 지역의 전통적 기반을 넘어 널리 퍼져나가고 있다. 오늘날에는 초등학교 음악 교육 과정의 일부가 되었으며, 전국의 민간 축제와 많은 중. 고. 대학교에서 널리 연습 되고 있다.

 

최근 강강술래를 예술 치료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강술래는 우울증 등 정신적인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 여성의 체중 감량을 위한 대체요법이나 외로운 노인들의 행복감을 높이는 수단으로도 연구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처용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강강술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반응형